안녕하세요 !
오늘은 경구용 과배란약 종류와 부작용에 관련하여 포스팅해보려합니다.
경구용 과배란약을 먹는 이유
주로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지고있는 여성들이 배란에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아요.
다낭성난소증후군은 간단하게 말해 무배란 혹은 배란이 안되서 난소안에 포도알같은 자라다 만 난포들이 있는 경우이죠. 이때문에 불규칙적인 생리를 하게 되기도 해요.
이런경우 배란일을 알기가 어렵고 임신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때문에,
임신을 준비하면서 과배란약을 처방받아 먹을 수 있습니다.
과배란약의 역할?!
자연주기 생리 시작 후 FSH(난포자극호르몬)의 분비 증가로 난포가 자극되고,
자극받은 난소는 에스트로겐 E2(estradiol. 난포호르몬)을 분비하게 되요.
이때 분비 된 에스트로겐은 FSH와 LH(황체형성호르몬)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연주기에서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낮아진다면요??
에스트로겐 농도가 낮아진것을 받아들이면,
몸에서는 아! 난소가 에스트로겐을 잘 못만들고 있구나 라고 인식하여
FSH나 LH 성선자극 호르몬의 분비양을 늘리게 되고 이것은 난포를 더 키우도록 만듭니다.
이게 바로 경구용 과배란약. 배란유도제의 역할입니다.
페마라 vs 클로미펜
과배란약은 대표적으로 페마라와 클로미펜 두가지가 있어요.
※ 복용방법으로는
두 약 모두 생리 시작일 2~5일차에 5일정도 복용하는것이 일반적이에요.
용량은 1알씩 먹는걸로 시작하는경우가 많고 필요시 2알로 늘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렇다면 페마라와 클로미펜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페마라와 클로미펜 둘다 에스트로겐 estradiol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요.
클로미펜은 뇌하수체에서 estradiol 작용을 막고,
페마라는 estradiol의 생성을 막는 기전으로 작용해요.
쉽게말해 클로미펜은 뇌에서 작용하고 페마라는 장기에서 작용한다는거죠?!ㅎㅎ
페마라란?
비교적 최근에 나온 배란유도제로 과배란이 필요한 경우 주로 처방해주는 약이에요.
페마라는 에스트로겐합성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aromatase enzyme을 억제하고 E2가 만들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해요.
에스트로겐 합성을 차단하여 GnRH 분비를 증가시키고 성선자극호르몬인 FSH와 LH의 농도를 높입니다. 이렇게 높아진 FSH가 난포를 자극하게 되고 키우는 역할을 해요.
페마라는 클로미펜보다 작용시간이 짧아서 자연 월경주기로 돌아가는데 시간이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어요.
E2는 자궁내막을 증식시키고, 자궁경부 점액 분비를 증가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페마라 복용을 중단하면 에스트로겐 생성은 다시 시작됩니다.
페마라 부작용
저의 경우 페마라 복용 후 두통과 어지러움증이 생겨서 힘들었어요.
아주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은 아니지만 그래도 페마라 부작용 리스트에 들어가 있더라구요.
때문에 페마라 1회차 복용 후 클로미펜으로 바꾸게 되었답니다.
1%이상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고콜레스테롤혈증 / 안면홍조 / 다한증 / 관절통 / 피로
그보다 덜 흔한 부작용으로는
식욕부진or식욕증가 / 우울증 / 두통,어지럼,현기증 / 두근거림 / 고혈압 / 구역,구토,소화불량,변비,설사,복통 / 탈모,피부건조,발진 / 근육통,뼈통증 / 질출혈 / 말초부종,가슴통증 / 체중증가
위 증상 외에 혈전증 / 색전증 / 심부전 / 협심증 / 간기능장애 / 황달 / 리엘증후군 / 다형 홍반이 발생한다면 약 복용을 중지해야하는 중요한 이상반응입니다.
클로미펜이란?
클로미펜은 시상하부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감소시켜요.
그래서 FSH, LH 성선 자극 호르몬의 방출을 높이죠.
클로미펜의 경우 2개 이상의 과배란을 일으켜 임신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요.
과배란이란 FSH의 농도를 높여 여러개의 난포를 키우는 것을 말하는데, 우성난포가 선택되면 퇴화되었을 난자들도 함께 키우는 것이죠.
클로미펜 부작용
클로미펜은 점액을 마르게 하고 내막을 얇게하는 단점이 있어요.
또한 난소 과자극 증후군, 요량증가, 과다월경, 자궁내막의 두께감소, 구토,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외국의 역학조사결과 클로미펜에 의한 난소암 유발 가능성이 보고되었어요.
클로미펜을 투여한 여성환자가 투여하지 않은 여성보다 난소암 발병률이 3배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발생하는 부작용은 다르기때문에 뭐가 더 좋은약이고, 뭐가 더 안좋은 약이라고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아요.
아무쪼록 저를 포함하여 배란유도제를 드시는 분들께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
'엄마가 된다는 것 > 임신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낭성난소증후군 파해치기 / 전조증상 / 치료, 예방 방법 (1) | 2023.09.08 |
---|